본문 바로가기
학문수양 10일차 압축공기 계통 • 공기압축기 계통은 공기건조기를 거쳐 건조된 압축공기를 각종 계측제어기기 등에 공급하는 제어용 공기계통(IA) 및 공기저장조로부터 직접 공기 구동공구, 보일러 경유버너 분무용 공기 및 공기예열기, 공기구동 전동기 등에 필요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소내용 공기계통(SA)으로 구분된다. • 공기압축기는 왕복동형이 많이 채용되고 대부분 무윤활 실린더, 2단, 수냉각식이다. • 무부하 운전은 압축기를 정지하지 않고 실린더 흡입측 밸브를 개방시켜 부하를 경감하고 시갂지연에 의한 압력강하 발생을 방지한다. • 공기건조기는 압축된 공기중의 습기나 이물을 제거하여 각종 제어기기에 사용되는 압축공기를 안전하게 공급함으로써 기기의 부식예방과 자동제어 기기의 기능장애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다. • 공기건조기는.. 2021. 6. 11.
학문수양 8일차 #조속장치 특성 및 #터빈제어 1. 조속장치의 특성 ○ 속도조정율 : 부하추종운전시 계통부하에 따른 발전기 출력응동과의 관계 - 비례제어기의 비례대와 동일 - 속도조정율 5% = 이득 20 ○ 부하차단과 정정속도 - 기계식 조속기 : 정정속도 105% - 전기식 조속기 : 정정속도 100% ○ 속도수하율 : 속도변동과 작동유체 제어밸브 응동과의 관계 2. 드럼보일러의 터빈제어 - 승속 및 계통병입 : 주증기 제어밸브 - 병입 전 : 바이어스 100% 더하여 재열기 제어밸브 제어 - 병입 후 : 출력설정 값에 2.5배 곱하여 재열기 제어밸브 제어 3. 관류보일러의 터빈제어 - 주증기 제어밸브를 이용하여 승속 시 보일러 튜브 과열우려 - 승속 및 계통병입 : 재열기 제어밸브 - Reverse Flow Mod.. 2021. 6. 10.
학문수양 8일차 터빈 기동 및 정지 1. 터빈 운전시 제한조건 ○ 열응력 (Thermal Stress) ○ 진 동 (Vibration) ○ 축방향 팽창 (Axial Expansion) ○ 로터 편심 (Eccentricity) 2. 기동준비 가. 로터 예열 (Rotor Warming) ○ 고압터빈 로터 중심공 온도가 177℃(350℉) 이하이고 ○ RH Bowl 및 RH Exhaust 온도가 54℃(130℉)) 이하일 때 ○ 예열방법 ▶ HSPV(Heating Steam Pressurizing Valve)를 통한 예열 ▶ RFV(Reverse Flow Valve)를 통한 예열 ▶ MSV Bypass Valve를 통한 예열 나. 체스트 예열(Chest Warming) ○ 체스트(Chest) 가압 ○ 체스트(Chest) He.. 2021. 5. 28.
학문수양 6일차 터빈 기동 및 정지 1. 터빈 운전 시 제한조건 열응력 (Thermal Stress) 진 동 (Vibration) 축방향 팽창 (Axial Expansion) 로터 편심 (Eccentricity) 2. 기동준비 가. 로터 예열 (Rotor Warming) 고압터빈 로터 중심공 온도가 177℃(350℉) 이하이고 RH Bowl 및 RH Exhaust 온도가 54℃(130℉)) 이하일 때 예열방법 ▶ HSPV(Heating Steam Pressurizing Valve)를 통한 예열 ▶ RFV(Reverse Flow Valve)를 통한 예열 ▶ MSV Bypass Valve를 통한 예열 나. 체스트 예열(Chest Warming) 체스트(Chest) 가압 체스트(Chest) Heat Soaking 3. 기동 .. 2021. 5. 8.
학문수양 5일차 보호 및 보안장치 ○ 보호장치 터빈에 이상 현상이 발생하였을 때 터빈에 공급되는 증기를 순간적으로 차단, 터빈을 정지하 여 터빈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사고의 파급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한 장치 (1) 과속도 조속기 (Overspeed Governor) 터빈 과속시 축의 원심력이 급증하여 축의 허용응력 한계를 초과하면 축이 파손될 위험이 있 으므로 터빈 과속을 방지하는 장치 (2) 백업 과속도 조속기 (Back-Up Overspeed Governor) 과속도 조속기 동작시험중 또는 고장시 터빈 과속에 대한 후비 보호장치이며 정격속도의 112 % 정도에서 동작하며, 기계식과 젂기식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젂기식을 사용 (3) 저 진공 정지 (Low Vacuum Trip) 장치 과열에 의한 터빈 사고를 미연에 .. 2021. 5. 6.
학문수양 4일차 ㅁ조속장치ㅁ ○ 조속기 동작원리 ▣ 기계식 조속기 (Mechanical Hydraulic Control) 터빈 축에 직결 또는 기어(Gear)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원심추(Fly Weight)의 원심력 변화를 이용 ▣ 유압식 조속기 (Oil Hydraulic Control,OHC) 별도로 설치된 원심형 조속펌프(Governor Pump)의 속도변화에 따른 유압 변동을 이용하여 증기 조절밸브를 조절 ▣ 전기식 조속기 (Electro Hydraulic Control,EHC) 전력계통의 주파수에 의하여 자력이 가감되는 전기적 회로를 이용 주파수 변화에 따라 여자전류가 증감되어 레버(Lever) 위치를 변경하면 제어유에 의해 주증기 조절밸브의 개도를 조정 ○ 조속방법 (Governing Method) ▣ 교축조속.. 2021. 5. 5.
학문수양 3일차~ ㅁ윤활장치ㅁ ☞ 주윤활유 펌프 - 터빈축과 직결, 원심펌프, 터빈속도 약3,000 rpm에 이르면 정상적인 기능 ☞ 승압펌프 - MOP에 흡입력을 제공 - Oil TBN에 의해 구동 ☞ 오일터빈(Oil Turbine) - 승압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터빈 - 주윤활유 펌프 출구 유압에 의해 구동 ☞ MSP(Motor Suction Pump) - 터빈 기동시 MOP에 흡입수두 제공 ☞ 보조 유활유펌프 - 기계 제어식(MHC) 터빈에 설치, 터빈 기동·정지 시 윤활유 공급 ☞ 터닝기어펌프(Turning Gear Oil Pump, TGOP) - 터닝기어 운전시 터빈-발전기의 각 베어링에 윤활유를 공급, - 교류 전동기로 구동되고 수직 원심형 ☞ 비상윤활유 펌프(Emergency Oil Pump, EOP) - 터빈.. 2021. 5. 4.
학문수양 2일차 ※베어링/밸브/터닝 기어※ ○ 베어링(Bearing) • 저널베어링(Journal Bearing) : Rotor 지지 - Tilting Pad Journal Bearing - Elliptical Journal Bearing • 추력(Thrust) 베어링 : 축방향 이동 방지 - Taper Land Thrust Bearing ○ 밸브 (Valve) • 주증기 정지 밸브(MSV) - 비상시나 정지 시에 고압 터빈에 공급되는 증기를 차단, 유량 제어 못함 - 터빈 기동시에 내장형 바이패스 밸브를 이용하여 증기량 조정 가능 • 저널베어링(Journal Bearing) : Rotor 지지 - Tilting Pad Journal Bearing - Elliptical Journal Bearing • 추력(Thrust.. 2021. 5. 3.
학문수양 1일차 ※증기터빈구조※ ◆케이싱(Casing) - 터빈 회전체를 덫고 잇는 압력용기 - 증기가 일을 하기 위한 공강 제공 - Diaphragm, Packing, Nozzle Box(HP) 조립 - 고온. 고압인 경우 2충 케이싱 구조 - 팽창 기준점 : Anchor Post ◆로터(Rotor) - 증기의 열 에너지 → 기계적 에너지(회전력)로 변환 - 축(Shaft)과 회전날개(Moving Blade)로 구성 - 회전날개는 Dovetail 방식에 의해 축의 Wheel or Disc에 체결 - 로터와 로터는 Coupling의한 연결 ◆ 고정날개(Fixed Blade) - 증기는 고정날개에 의해서 적당한 각도와 속도를 갖고 회전날개로 유입 - 고압터빈 제1단 고정날개인 노즐은 노즐박스에 용접 그 외 Diaphrag.. 2021. 5. 2.